목록디자이너 Ms.삼취 열매/삼취's 프리미어프로 (6)
안농 나는 삼취야~

Lumetri Color 1) Basic correction - White balance를 바꿈 - 기본적으로 색감 조정 2) Creative - 효과 주는 것 3. Curves - RGB의 속성을 가지고 색 조정하는 것 - Hue vs Sat if) 영상의 Red값을 스포이드 해주면 빨간색의 범위값이 생기게 되고, 범위 내에서 값을 올리면 Red 값이 확 올라간다. 낮추면 Red 값이 확 내려간다. - Hue vs Hue 색 자체가 바뀌게 된다. 스포이드로 변경시키고 싶은 색을 클릭하면 그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 할 수 있다. 4) Color Wheels & Match - Shadow 블랙 - Highlight 화이트 - Mid 중간색 Comparison View : Apply Match누르면 한가지 ..

색보정 ▶ 장면에 일괄된 컬러 톤 유지, 생동감 표현 (장소, 조명, 자연광 등의 영향) 색의 속성 RGB : 빛의 3원색인 Red, Green, Blue를 서로 다른 비율로 결합 > 생성 > 컬러 모니터(컴퓨터)와 같은 색 체계에서 사용 해상심도 : Color Depth 컬러 해상도 이미지 최소 8bit (=256색상), 16bit(=65,536색상) : 애플 + 어도비 RGB색공간 사용 CMYK : Cyan, Magenta, Yellow, Black을 기본으로 하여 각 성분의 감산에 의해 컬러 구현 > 컬러 프린터 인쇄 그외 3속성 색상[HUE] : 색을 표현 채도[Saturation] :색상의 선명함 정도 (같은 붉은계열이라도 파스텔, 원색, 옅은색, 진한색 등 표현 가능) 명도(명암) [Light..

#. 사운드디자인 ▶ 종류: 효과음, 믹싱, 더빙, 내레이션, 음악 ▶ 프리미어의 기본 설정은 스테레오로 되어 있다. Streo : 보통 믹싱할 때 사용, 모든 채널을 묶어 오디오가 나온다. Mono : 작업 할 때 사용한다. 분리해서 오디오가 나온다. 믹싱 - 스테레오 / 작업 - 모노 (작업시(모노일때) 소스 설정 중요, 개별 오디오 필요-단점 현장에서 사람이 말하는 것 : SOV라고 표현한다. #. 소리의 3요소 1. 소리의 세기 or 크기 (Volume 음량) - 진폭 -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 - 들리는 소리의 크고 작음 * 조절 Gain (단축키 G) 2. 소리의 높낮이 (음고 Pitch) - 소리의 진동 수 -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소리 - 저음,고음 구분하는 가장 큰 요소 - 레벨은 같아도..

Transition이란? ▶ 장면이 전환되는 부분에 특정한 효과를 주어 자연스럽게 넘기는 것 나란히 있는 영상1에서 영상2로 넘어 갈 때 적용하는 전환효과이다. Transition을 할때 전제 조건 ▶컷과 컷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. 즉, 내가 주고자 하는 길이 만큼 열프레임을 줄거면 앞, 뒤로 5프레임씩 여유가 있어야함. 그런게 아닌거면 레이어를 분리해서 개별효과를 줘야한다. 디졸브 길이 조정은 자유롭게 할 수있다. Effect Control에서도 가능. Transition의 종류 #1. Cube Spin - 정육면체가 회전하듯이 화면 전환됨. - 화면을 밀면서 자연스럽게 옆으로 넘어가는 효과 (책넘기는 느낌) - Reverse 누르면 반대로 넘어간다. - Show Actual Souce 를 누르면 예시..
#. 동영상 -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나타나는 영상 -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연속 된 정지 영상들의 모음 Frame : 수많은 픽셀로 구성 Pixel : 화소 #. Frame size 이미지의 크기. 영상의 해상도 화면크기, 수치에 따라 해상도의 차이가 큼, 데이터가 많이듬, 이미지가 많을수록 부드러워짐 [Frame Size의 종류] SD : 640X480 / 720X480 (아날로그, 스텐다드) HD : 1280 x 720 FHD : 1920 x 1080 UHD : 3840 x 2160 (HD보다 4배 높음) 4K : 4096 x 2160 국가마다 송출 방식이 다르다. 우리나라는 NTSC 송출방법을 사용하고있다. HD를 표현하는 방식이 세가지가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 포함 미국,일본은 FHD, 유..
★★★영상편집의 기초★★★ 기획의도를 파악하고, 거기에 맞는 편집 구성안을 작성한다. 영상을 만드는 단계는 크게 3개로 나누어진다. 프리프로덕션 ▶ 프로덕션 ▶ 포스트 프로덕션 1. 프리프로덕션 기획회의이다. 영상편집을 만드는데 있어 핵심이자 설계도, 뼈대를 만드는 것이다. 같은말로 사전제작의 의미도 있으, 컨셉, 예산, 출연진 등 큰 틀을 짜내는 것을 의미한다. ex) 제일기획 2. 프로덕션(촬영) 스토리 보드를 이용하고, 촬영을 한다. 현장에서 가편집(=현장편집)도 약간 한다. 3. 포스트 프로덕션 1차편집 - 스토리보드에 맞추어 편집한다 (프리미어프로사용) 종합편집 - CG, 자막, 텍스트, 합성 등을 한다. (에프터이펙트를 사용하며 에펙은 2D기반 프로그램이다.) 티저 호기심을 자극해서 궁금증을 ..